인성예절교육
도령서당 명덕재 산골교육은
“참된 인성과 예절교육을 중시하는 곳...”
예절을 지키는 것은 타인을 존중하는 것이며, 타인을 존중하는 것은 곧 나를 존중하는 것이다.
“참된 인성과 예절교육을 중시하는 곳...”
예절을 지키는 것은 타인을 존중하는 것이며, 타인을 존중하는 것은 곧 나를 존중하는 것이다.

한문은 단순히 한자를 많이 알기 위해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.
그 속에 담겨있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배우는 것입니다. 공주도령서당 명덕재<글공부>에서는 한문고전을 통해 선인들의 사람과 사회와 자연에 대한 올바른 가치와 생각을 오늘에 잇고자 하는 공부입니다.
교재 : 사자소학(四字小學), 추구(推句), 학어집(學語集), 명심보감(明心寶鑑), 동몽선습(童蒙先習), 소학(小學), 대학(大學), 논어(論語), 맹자(孟子), 중용(中庸) 한문고전일체

선인들의 교육은 단순히 지식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었습니다. 항상 사람의 삶에 대해 고민과 배려가 교육의 바탕에 흐르고 있습니다. 스승과 제자 사이에 학우들 사이에 흐르는 엄격하면서도 인간미가 살아 있는 윤리,예절교육 나아가 한 인격체로서 올바르게 생활 할 수 있는 전인교육 공주도령서당의<삶 공부>는 바로 이러한 옛 서당에서 이루어졌던 살아있는 공부를 지향합니다.
내용 : 인사예절, 말하기예절, 전통배례법(큰절,평절 절하기등), 기본생활예절, 웃어른에대한예절, 명상하기, 마음가짐 예절 등...

바라보는 것은 생각하는 것과 다릅니다 마음일기를 통해 내 마음의 모습들 그리고 그 마음으로 공부하면서 일어난 마음의 흐름 변화 등을 그대로 기재하여 감정을 받아 깊은 깨달음을 얻음으로서 마음공부가 더욱 성숙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. 마음은 잡으면 있어지고 놓으면 흔적도 없어서 마음을 챙기지 않고는 마음을 공부할 수 없으므로 일기쓰기, 독후감쓰기는 마음공부가 성숙되어 가는 징표가 되고 단련이 되게 합니다. 즉 마음을 챙기게 하는 것이 됩니다.
마음 일기로 생활을 정리하며 마음바라보기를 하는 것입니다.
내용 : 마음일기쓰기, 마음독후활동, 다도예절, 서예쓰기
어린시절 한때 교육이 평생을 좌우함으로 서당교육은 삶의 주초돌을 놓는데 역점을 둡니다.
"공주에는 '도령서당 명덕재산골교육' 이 있습니다."
